삼국유사를 쓴 일연 스님의 행적과 삼국유사에 나오는 유적지를 답사하며 찍은 사진들이다. 대학생 때인 1991년에 《진리ㆍ자유》라는 교내 잡지사에서 같이 일을 하던 삼국유사 연구자 고운기 선배(당시 박사과정, 지금은 교수)와 의기투합하여 작업을 시작했다.
90년대 초반은 인터넷이 없던 때라 논문과 책으로 정보를 찾았고 고운기 선배와 함께 차도 없이 버스와 기차로만 전국을 쏘다니며 답사를 시작했다. 92년에는 불교방송의 김정학 PD와 ‘일연과 삼국유사’를 주제로 협업을 할 기회가 생겨서 방송국에서 제공한 갤로퍼를 타고 삼국유사의 현장을 일주하는 행운이 찾아왔다.
97년에 첫 번째 책 『일연』(한길사, 사진/양진ㆍ글/고운기)을 냈고, 2002년에는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현암사, 사진/양진ㆍ글/고운기)를 두 권짜리로 출판해서 주요 언론들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또 동아일보 연재를 비롯해서 삼국유사ㆍ삼국사기를 주제로 한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다.
삼국유사 유적지를 소재로 한 사진 찍기는 계속 이어졌으며 2002년부터는 한쪽이 기다란 파노라마 형식으로 찍기 시작했다. 파노라마가 유적지 풍경에 더 어울렸기 때문인데 후지필름 TX-1, TX-2 카메라로 2.7:1 비율의 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들은 2006년과 2009년에 개인전을 통해 발표되었다.

강릉 굴산사 터 당간지주
강릉 굴산사 터 당간지주

강릉 굴산사 터
강릉 굴산사 터

경주 감은사 터
경주 감은사 터

경주 감포 문무대왕릉
경주 감포 문무대왕릉

경주 굴불사 터 사면석불 약사여래
경주 굴불사 터 사면석불 약사여래

경주 망덕사 터 주춧돌
경주 망덕사 터 주춧돌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와 별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와 별

경주 불국사 무설전
경주 불국사 무설전

경주 사천왕사 터
경주 사천왕사 터

경주 삼릉
경주 삼릉

경주 오릉
경주 오릉

경주 황룡사 터
경주 황룡사 터

고구려 고분군(중국 집안)
고구려 고분군(중국 집안)

고구려 산성(백암성, 중국 요양)
고구려 산성(백암성, 중국 요양)

고구려 졸본성(중국 환인)
고구려 졸본성(중국 환인)

고조선 지역 고인돌(중국 개주)
고조선 지역 고인돌(중국 개주)

광개토대왕릉(중국 집안)
광개토대왕릉(중국 집안)

광개토대왕비(중국 집안)
광개토대왕비(중국 집안)

군위 인각사 일연 비각
군위 인각사 일연 비각

나주 불회사
나주 불회사

문경 사불산
문경 사불산

밀양 만어산
밀양 만어산

법수사 당간지주
법수사 당간지주

변산 바다
변산 바다

변산 불사의암
변산 불사의암

북한산 진흥왕순수비
북한산 진흥왕순수비

불국사 다보탑
불국사 다보탑

서산 마애삼존불
서산 마애삼존불

안성 칠장사
안성 칠장사

양양 낙산사 꽃담
양양 낙산사 꽃담

양양 진전사 터
양양 진전사 터

완도 청해진
완도 청해진

청도 운문사
청도 운문사

평창 오대산 상원사 종 주악비천상
평창 오대산 상원사 종 주악비천상

평창 오대산 서대 염불암
평창 오대산 서대 염불암

평창 오대산 염불암
평창 오대산 염불암
